단기상담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5-02 10:26본문
단기상담의 특징은 단기간에 구조화된 상담기간의 제시, 구체적이고 명확한 상담목표의 합의, 상담의 구조화, 내담자의 현재 문제와 반복적인 대인관계에 치료적 초점두기, 문제해결 중심의 접근, 긍정적인 상담자-내담자 관계의 형성 등을 들 수 있다. 문제해결을 직접적인 목표로 단기라는 제한된 시간 내에 최대효과를 내고자 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포(rapport)형성이 중요하다. 상담의 단기적 진행과 내담자의 변화를 위한 상담은 시간이 제한적인 경우나 위기 개입적인 상황에서는 이러한 긍정적 관계가 더욱더 중요시된다.
둘째,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을 한다. 내담자는 처음 상담 받으러 왔을 때 제시한 주 호소의 문제가 무척 중요시 되며, 상담목표도 이때 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담이 진행되면서 상담목표가 변할 수도 있으며 상담자는 변화하는 내용에 따라 수용해야 한다.
셋째, 말 속의 말을 찾아야 한다. 내담자의 말이 두서없이 파편화하여도 그 말을 한데로 모아 핵심내용을 파악하야 한다. 현재 추세는 10회이내의 단기상담을 요구하는 곳이 많고 시간이 제한되어 있기에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빠르게 파악해야 한다. 상담자는 핵심문제를 중심으로 내담자의 현재 심리상태에 대한 분명한 평가가 초기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초점을 맞추어 구체적인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넷째, 질문을 잘해야 한다. 내담자는 자기 중심성향에 의하여 말을 하게 되며, 상황에 따라서는 장황하게 말을 한다. 상담자는 적절한 시점에서 말을 끊기도 하고 질문도 해야 한다. 또한 상담자는 내담자가 질문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였거나 내담자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였을 때 재 질문을 하여야 한다.
다섯째, 상담목표의 제한성이다. 단기상담에서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치료목표가 제한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행동의 변화가 치료목표로 설정될 수 있으며 특정한 내적 갈등의 해소가 치료목표가 되는 경우에도 구체적인 행동 또는 정서적인 변화가 치료 성공의 외형적 준거가 되어야 한다.
여섯째, 치료적 초점이다. 치료적 개입에 있어서 초점을 맞추고 유지하는데 집중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단기상담에서의 치료의 초점은 내담자의 현재의 문제 증상, 반복적으로 문제로 나타나는 대인관계 등이다. 어린 시절 성장기의 경험 등을 다루며 이러한 내용들이 현재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일곱째, 상담자는 즉각적이고 적극적인 개입을 강조한다.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변화를 위한 정서적, 심리적 지원과 상황에 맞는 과제를 주기도 하며, 상담기법의 선택 및 적용에 있어서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내담자는 상담의 장기화를 기대하지 않으며 신속한 문제해결을 원한다. 상담회기의 수를 줄이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단기상담이 장기상담과 비슷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면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 단기상담을 선호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단기상담은 장기상담과 달리 제한적 횟수와 시간 내에서 내담자의 변화를 이끌어 내야한다. 상담은 내담자 중심으로 이끌어 가야하며, 내담자는 1회기 또는 10회기 이내 상담을 받더라도 각 회기 별 구조화를 통하여 내담자가 상담이전에 비하여 상담 후 긍정적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임향빈 2018: 23-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